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여성 1인 가사노동가치 연 1천380만 원 … 남성의 2.6배
여성 하루 평균 205분…남성 64분
통계속에 나타난 데이터를 바탕으로 여성의 현주소 엿봐
청소, 음식 준비, 아이 돌봄 같은 가사노동이 창출하는 가치가 2019년 기준으로 명목 국내총생산(GDP)의 25%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1명이 창출하는 가사노동 가치는 연간 1천380만 원으로 남성 521만 원과 비교해 2.6배나 높았다. 그럼에도, 1인 가구와 맞벌이 가구 증가로 남성의 가사노동 비중이 점차 커지면서 남성의 노동가치도 증가해 눈길을 끈다.
통계청이 발표한 ‘가계생산 위성계정(무급 가사노동가치 평가)’에 따르면 지난 2019년 무급 가사노동의 경제적 가치는 490조9천억 원으로 5년 전과 비교해 35.8% 늘었다. 명목 GDP 대비 25.5%에 달하는 규모다. GDP 대비 가사노동 가치 비율은 2004년 22.1%에서 2019년 25.5%까지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1인당 가사노동 가치는 949만 원으로 5년새 33.3% 늘었다. 가사노동 가치에서 차지하는 여성의 비중은 72.5%(356조 원), 남성의 비중은 27.5%(134조 9천억 원)로 조사됐다.
성별 인구로 나누면 여성의 가사노동 가치는 1인당 1천380만 원, 남성은 1인당 521만 원이 된다. 여성 1명이 수행하는 가사노동 가치가 남성의 2.6배나 되는 셈이다.
남성의 가사노동 가치는 5년 전(348만 원)과 비교해 49.6% 급증해 여성 증가폭(27.9%)을 크게 웃돌았다. 전체 가사노동 가치에서 남성이 차지하는 비중이 2004년 22.8%에서 2019년 27.5%로 늘었기 때문이다.
2019년 기준 여성 1인당 하루 평균 가사노동시간은 205분으로 하루 3시간 반가량을 가사노동에 할애하고 있다. 이는 남성(64분)의 3.2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정부나 공공기관에 다니는 여성이 중소기업에 다니는 여성에 비해 육아휴직을 더 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5~2019년 아동가구 통계 등록부’에 따르면 2019년 기준 만 8세 이하 아동을 양육하고 있는 상용직 근로자 중 공무원, 공공기관 종사자, 시민단체 등 비영리기업에 다니는 여성 24.8%가 육아 휴직 중이었다. 이는 대기업 다니는 여성들의 육아휴직률(24.1%)보다 높은 수치다. 반면 중소기업에 다니는 여성이 육아휴직 중인 비율은 12.4%에 그쳤다. 소상공인 업체에 종사하는 여성의 육아휴직률(6.2%)은 그보다 더 낮아 기업의 규모와 특성에 따라 육아휴직률이 많은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됐다.
만 8세 이하 자녀가 있는 전체 상용직 근로자 294만 6천 명 중 육아휴직을 한 사람은 24만9천 명(8.4%)이었다. 여성은 18.5%, 남성은 2.2%가 육아휴직을 사용하고 있었다.
지난해 전국 지방자치단체의 관리자급인 5급 이상 공무원 중 여성의 비율이 처음으로 20%를 넘었다.
행정안전부가 공개한 ‘지방자치단체 여성 공무원 인사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5급 이상 공무원 중 여성 수는 5천165명으로 20.8%를 나타냈다. 연도별 지자체 5급 이상 공무원 중 여성 비율은 2011년 9.2%에서 2019년 17.8%로 꾸준히 올랐고 지난해 처음 20%를 넘었다.
지난해 지자체 여성 공무원 수는 13만6천71명으로 전체의 46.6%를 차지했다. 이는 2019년 13만2천563명(39.3%)보다 증가한 규모다.
지방직 공채에서 여성이 강세를 보이면서 지난해 양성평등채용목표제에 따라 추가로 합격한 공무원은 남성이 222명, 여성은 63명으로 남성이 더 많았다. 지방직 공채에서 여성의 강세는 9급에 이어 7급으로 확대됐다. 지난해 지방직 7급 공채의 여성 합격자 비율은 52.1%를 기록해 처음으로 50%를 넘어섰다.
9급 공채 여성 합격자 비율은 57.1%다. 9급 여성 합격자는 2005년 이후 계속 과반수를 유지하고 있다.
한편 전국 시·도 중 여성 공무원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부산으로 전체 공무원의 52.6%가 여성이다. 이어 서울(50.1%), 인천(49.4%), 경기(49.1%), 울산(48.5%)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내놓은 2021년 1분기 보건산업 고용 동향을 보면 올 1분기 보건산업 종사자 수는 95만3천 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1%인 2만9천 명이 증가했다. 보건산업 종사자 중 여성의 비중은 남성의 3배에 달하는 70만여 명을 기록했으며, 29세 이하인 젊은 층도 전체의 30% 가까운 비중을 차지했다. 산업별로는 의료 서비스 종사자 수가 78만7천 명으로 총 종사자의 82.5%를 차지했다. 이어 제약 7만6천 명(7.9%), 의료기기 5만5천 명(5.8%), 화장품 3만6천 명(3.8%) 순이었다.
보건산업 종사자 수 증가율은 3.1%로, 전체 제조업 증가율인 0.1%보다 3.0% 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올해 경기도교육청 공무원 임용시험 결과 여성 합격자 비율이 소폭 상승했다.
경기도교육청이 최근 공개한 2021년도 지방공무원 공개(경력) 경쟁 임용시험 최종 합격자를 보면 754명 중 507명이 여성으로 67.2%에 달했다. 남성은 247명으로 32.8%에 그쳤다. 여성 합격자 비율은 지난해 66.8%보다 0.4%포인트 상승했다.
분야별 공개경쟁 합격자 수는 교육행정 616명(남부 436명, 북부 180명), 사서 12명, 전산 7명, 공업 15명(기계 6명, 전기 9명), 보건 25명, 식품위생 14명, 시설 29명(토목 3명, 건축 26명), 기록연구 1명 등이다.
여성에 흔한 질병인 방광염이 여름철에 특히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9년 방광염 월별 환자 추이를 보면 연 166만1천839명 중 여름이 본격 시작되는 7월부터 환자가 늘기 시작해 8월 22만5천18명으로 최고치를 나타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관심질병통계에 따르면 연령대별 진료 인원은 50대 20.5%, 60대 16%, 40대 15.8%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성 90.4%, 남성 9.6%로 대부분 여성이었다. 여성 30%가 앓을 만큼 여성 발생빈도가 높은 질환이다.
방광 점막이나 점막 아래 조직에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에 의해 염증이 원인인 방광염은 소변이 자주 마렵거나 긴박한 소변 욕구를 느끼게 된다.
비뇨의학과 전문의들은 남성보다 여성이 더 흔하게 방광염을 앓는 이유에 대해 신체 구조상 특징을 든다.
남성보다 요도가 짧고 세균 번식이 쉬운 항문이 요도와 가까워 세균이 요도를 타고 방광까지 이동하기 쉽다는 거다. 여성에 흔한 질환이지만 발생 빈도가 잦다면 전문의와 상담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여성 골퍼가 급증하면서 골프로 말미암은 엘보를 호소하는 여성들도 급증하고 있다.
지난해 골프엘보 환자 20만8천192명 중 40~60대 여성 환자는 9만1천925명으로 전체의 44%에 달했다. 골프엘보의 정확한 진단명은 ‘내측상과염’이다.
팔꿈치 안쪽 관절에서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으로 과도한 운동으로 인해 손과 손목, 팔에 무리가 가게 되고 팔꿈치 주변 힘줄에 미세한 파열이 생겨 발생한다. 주요 증상은 주먹을 쥐거나 물건을 잡을 때 팔꿈치 안쪽에서 발생하는 통증과 저림이다.
골프엘보를 단순한 근육통이라 여겨 조기 치료를 놓치게 되면 만성 통증이나 퇴행성 관절염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골프와 같은 운동 이후나 일상생활 중 팔꿈치 안쪽으로 통증과 저림 증상이 느껴진다면 전문의를 찾아 상담 후 치료해야 한다.
한편, 국내 한 카드사가 발표한 골프업종 이용분석 자료에 따르면 올해 4월 기준 여성 소비자의 골프 매출은 275억88만 원으로, 2019년 동월 대비 42%나 급증했다.
지난해 여성 소방공무원이 전년보다 약 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청이 지난해 말일 기준 주요 소방활동 관련 통계를 수록한 ‘2021년 소방청 통계연보’에 따르면 2020년 통계에서 전체 소방공무원은 6만994명으로 전년 대비 7.7% 증가했고, 이 중 여성 소방공무원 비율은 9.3%(5천649명)로 전년 대비 6.1%(350명) 늘어났다.
소방공무원 1인당 담당인구는 859명으로 전년과 비교해 7.2%(67명) 감소했다.
특히 여성 장군 6명 모두 육군 소속으로 해병대를 포함한 해군과 공군에는 장군급 여군 인사가 단 한 명도 없는 것으로 파악돼 장벽이 더 심했다.
여성가족부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군 간부 중 여군 간부 비율은 7.5%로 2018년 6.2%, 2019년 6.8% 등 3년 연속 증가했다. 사회 각 분야에서 여성 진출이 늘어나는 추세와 맞물려 여군 숫자가 크게 늘고 있지만, 고위직 진출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김중로 전 국민의힘 의원실이 낸 자료를 보면 2019년 기준 소령 진급자 남녀 성비는 88 대 12로 전체 비율과 큰 차이가 없다. 그러나 중령 진급자로 올라가면 93 대 7로 격차가 벌어지고, 대령 진급자가 돼서는 99 대 1까지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국방위 소속 최재성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조사에 따르면 2018년 기준 대령 이상 군 간부 중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0.6%에 그쳤다.
더욱이 정부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장성급 인사를 보면 ‘여군 스타’는 군 전체를 통틀어 6명에 그쳤다. 여군 출신으로 장군 되기가 ‘하늘의 별 따기’인 셈이다. 특히 여성 장군 6명 모두 육군 소속으로 해병대를 포함한 해군과 공군에는 장군급 여군 인사가 단 한 명도 없는 것으로 파악돼 장벽이 더 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싱글 남녀 80%가량이 최근 1년간 새로운 이성을 소개받은 적도 없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에 따르면 지난 2월 5일부터 10일까지 국내 25∼49세 성인남녀 2천 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가 연애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와 관련한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 미혼이며 애인이 없는 성인남녀 602명 가운데 코로나19 발생 이후 새로운 이성을 만나거나 소개받지 못했다는 사람이 전체의 78.1%나 됐다. 이들에게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했을 때 새로운 이성을 만나거나 소개받는 빈도가 어떻게 달라졌느냐’고 묻자 48.7%가 ‘줄었다’고 했다. 50.8%는 ‘변화가 없다’고 했고, 0.5%는 ‘많아졌다’고 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결혼에 대한 의지가 달라졌느냐는 질문에는 남성은 ‘결혼이 더 하기 싫어졌다’와 ‘더 하고 싶어졌다’는 응답이 각각 10.9%와 10.3%로 비슷했다. 반면 ‘더 하기 싫어졌다’고 응답한 여성의 비율은 20.7%로, ‘더 하고 싶어졌다’(5.9%)는 비율보다 3배 이상 많아 코로나19 이후 취업 등에서 상대적으로 여성들이 더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추정케 했다.